— 성간 혜성의 정체가 드러나기 시작한 결정적 순간 —
10월 29일, 성간 혜성 3I/ATLAS(C/2025 N1) 이 태양 근일점을 통과했다.
당시만 해도 “새로운 성간 방문자”로 관심을 받았지만,
근일점 이후 불과 며칠 사이에 이 혜성에서 매우 흥미로운 변화가 연달아 관측되었다.
이번 글은 11월 1일 업로드했던 이전 글의 후속 업데이트 편으로,
근일점 이후 새롭게 드러난 특징을 독자가 이해하기 쉬운 서술 방식으로 정리한 최신 분석이다.
📌 아직 지난 글을 보지 않았다면 먼저 확인해보세요.
👉 [3I/ATLAS: 태양을 스쳐 간 성간 혜성, 근일점 관측 정리]
1. 갑자기 ‘폭발적으로 길어진 꼬리’ — 무슨 일이 있었을까

Source: https://www.virtualtelescope.eu/
근일점 직후의 꼬리는 30 arc초(달의 1/60)에 불과했지만,
11월 중순 관측에서는 무려 0.7도(달 지름의 약 40%) 길이로 확장된 모습이 확인되었다.
불과 며칠 사이에 벌어진 급격한 변화로,
혜성 내부 얼음이 태양열에 의해 빠르게 녹으며
가스·먼지가 한꺼번에 분출된 결과로 해석된다.
여기에 태양풍이 더해지며 꼬리가 길고 날렵하게 확장된 형태가 나타난 것이다.
2. 빛의 ‘편광’이 말해주는 단서 — 성간 기원 가능성 강화

혜성에서 반사된 빛의 패턴을 분석하면
먼지의 크기·구조·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편광 관측’이라고 한다.
3I/ATLAS의 편광 데이터는
일반적인 태양계 혜성과는 확연히 다른 특성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음의 편광 분지’가 깊고 좁게 나타나는 형태를 발견했는데,
이 패턴은 태양계 혜성에서 보기 어렵다.
즉,
“3I/ATLAS는 태양계 바깥에서 형성된 물질일 가능성이 높다.”
라는 중요한 신호다.
3. 라디오 전파 포착의 진실 — 외계 신호는 아니었지만 의미 있다
최근 3I/ATLAS에서 라디오 전파가 포착되었고
일부에서는 “외계문명 신호일 수도 있다”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분석 결과,
해당 전파는 OH(하이드록실) 분자의 자연 방출 신호였다.
외계 신호는 아니었지만,
성간 혜성에서 이 정도로 명확한 라디오 신호가 관측된 것은
과학적으로 흥미로운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
4. JWST의 12월 관측 — 결정적 데이터를 가져올 중요한 순간

NASA는 12월 중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으로 3I/ATLAS를 다시 관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관측은 혜성의 기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JWST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게 된다.
- 혜성의 얼음(휘발성 물질) 성분
- 먼지의 크기·화학적 특성
- 근일점 이후 활동 변화
- 분출로 인한 ‘비중력 효과’ 여부
이 자료가 공개되면
3I/ATLAS가 진짜 성간 천체인지 여부를
더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 학계의 분위기 — ‘성간 기원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3I/ATLAS의 기원을 둘러싼 논쟁은 다양했지만,
11월 현재 연구 흐름은 점점 하나로 모여가고 있다.
✔ 성간 기원설을 지지하는 근거
- 일반 혜성과 다른 편광 패턴
- 꼬리의 이례적으로 빠른 확장
- 태양풍에 대한 강한 반응
- 먼지·가스 조성의 차이
✔ 태양계 외곽 기원설은 약해짐
근일점 이후 자료는 오르트 구름 천체의 일반적 패턴과 다르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 인공기원설은 사실상 배제
라디오 전파가 자연 신호로 확인되면서
인공 기원 가능성은 거의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6. 결론 — ‘2025년 12월 ~ 2026년 초’가 결정적 분석 시기
천문학자들은
2025년 12월부터 2026년 초까지를
3I/ATLAS 연구의 가장 중요한 시기로 평가한다.
이 시기에
- JWST 데이터 공개
- 근일점 이후 변화 분석
- 핵심 논문 발표
가 이어지며
이 혜성의 기원과 특성이 한층 명확해질 전망이다.
지금은 말 그대로
“퍼즐 조각이 맞춰지는 과정의 시작”
이라고 할 수 있다.
마무리 — 3I/ATLAS는 이제 ‘본격 연구 단계’로 들어섰다
근일점을 지나며 활동성이 뚜렷해진 현재,
3I/ATLAS는 우리가 성간 물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례가 되고 있다.
이전 글이 이 혜성에 대한 소개편이었다면,
이번 글은 실제 관측으로 드러난 변화들을 정리한 “핵심 분석 편”이다.
앞으로 JWST의 관측 결과가 발표되는 대로
또 한 번 자세한 후속 업데이트를 진행할 예정이다.